장기요양인정점수 산정방법 5단계
1단계. 심신상태를 나타내는 52개 항목 조사결과
5개 영역별로 심신상태를 나타내는 52개 항목의 판단기준 및 척도에 따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5개영역(52개항목) | 조사항목별 판단기준 및 척도 | 조사결과 | |
---|---|---|---|
신체기능(12항목) | 기능자립정도 | 완전자립 | 1항목 |
부분도움 | 6항목 | ||
완전도움 | 5항목 | ||
간호처치(9항목) | 있다 | 4항목 | |
재활(10항목) | 운동장애없음 | 1항목 | |
불완전 운동장애 | 3항목 | ||
완전 운동장애 | 6항목 |
2단계. 영역별 점수 합계
1단계에서 실시한 심신상태를 나타내는 52개 항목 조사 결과를 기초로「영역별 조사항목 원점수표」에 의하여 해당 항목별 점수의 합을 다음과 같이 구합니다.
* 완전자립, 예, 있음, 운동장애 없음, 관절제한없음 = 1점
* 부분도움, 불완전운동장애, 한쪽관절제한 = 2점
* 완전도움, 완전운동장애, 양관절제한 = 3점
영역 | 원점수 계산 | 영역별 원점수 |
---|---|---|
신체기능 | (1항목 x 1점) + (6항목 x 2점) + (5항목 x 3점) | 28점 |
인지기능 | - | 0점 |
행동변화 | - | 0점 |
간호처치 | 4항목 x 1점 | 4점 |
재활 | (1항목 x 1점) + (3항목 x 2점) + (6항목 x 3점) | 25점 |
3단계. 영역별 100점 환산 점수
2단계에서 계산한 「영역별 점수 합계」에 의해 아래「영역별 100점 득점 환산표」에 따라 영역별 100점 환산 점수를 다음과 같이 산정합니다.
영역 | 원점수 계산 | 영역별 100점 환산 점수 |
---|---|---|
신체기능 | 28점 | 61.71점 |
인지기능 | 0점 | 0점 |
행동변화 | 0점 | 0점 |
간호처치 | 4점 | 55.81점 |
재활 | 25점 | 70.53점 |
4단계. 8개 서비스군별 장기요양인정 점수산정 및 합계
52개 항목 조사 결과와 영역별 100점 환산점수는 수형분석(Tree Regression Analysis)에 적용하여 장기요양인정점수 산정 후 합계를 구함
※ 수형분석이란?
데이터 마이닝기법에 의하여 결과를 예측하거나 분류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통계적인 방법입니다.
※ 수형분석의 역할은?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 수형분석은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신청인의 기능상태에 따라 필요한 서비스 량을 예측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1단계에서 심신상태를 나타내는 52개 항목 조사결과와 3단계에서 산출한 영역별 100점 환산 점수를 가지고 8개 서비스 군별 수형 분석도에 적용하여 장기요양인정점수를 다음과 같이 산정한 후 합을 구합니다.
8개 서비스군 | 장기요양인정점수 |
---|---|
① 청결 | 9.0 |
② 배설 | 10.2 |
③ 식사 | 15.1 |
④ 기능보조 | 6.4 |
⑤ 행동변화대응 | 0.4 |
⑥ 간접지원 | 19.7 |
⑦ 간호처치 | 14.6 |
⑧ 재활훈련 | 4.8 |
(① ~ ⑧) 장기요양인정점수의 합 | 80.2 |
5단계. 장기요양 등급결정
OO에 사시는 김OO 할아버지는 장기요양인정점수가 80.2점으로 아래 장기요양등급 기준을 적용하면 장기요양 2등급을 판정받게 됩니다.
등급 | 장기요양인정점수 |
---|---|
1 | 95점 이상 |
2 | 75점 이상 95점 미만 |
3 | 60점 이상 75점 미만 |
4 | 51점 이상 60점 미만 |
5 | 45점 이상 51점 미만 |
인지지원 | 45점 미만 |